크라이슬러에 대해 알아보자
명칭:피아트 크라이슬러 오토모빌스(FCA)
창립자: 아넬리 가문
1대 지오반니 아넬리(Giovanni Agnelli, 1866-1945): 1899년 동업자들과 토리노에서 피아트 자동차 회사를 만들고, 산업화와 동시에 회사가 번창, 마침내 회장자리에 오르면서 아넬리 '왕조'가 시작됩니다.
2대 에두아르도 아넬리(Edoardo Agnelli, 1892-1935): 피아트 창업주 지오반니 아넬리의 외아들. 1923년 아넬리가문이 유벤투스를 인수했을때부터 사망할때까지 유벤투스 회장을 맡았던 열렬한 축구광이기도 했는데, 1935년 비행기 사고로 안타깝게 43세의 젊은나이에 아버지보다도 먼저 사망합니다.
*유벤투스 FC: 1923년 피아트 그룹 창립자의 아들인 에두아르도 아넬리가 구단주로 취임하여
모기업의 돈을 클럽에 투자하면서 유벤투스는 강팀의 면모를 갖추기 시작하였다.
에두아르도 아넬리는 페루자의 귀족집안 딸과 결혼해서 7남매를 두었는데, 장남은 잔니 아넬리, 막내아들은 움베르토 아넬리입니다.
3대 움베르토 아넬리(Umberto Agnelli, 1934-2004)는 잔니 아넬리의 친동생으로, 유벤투스 회장을 지내기도 했으며 현재 유벤투스 회장인 안드레아 아넬리의 아버지이기도 합니다. 슬하에 삼남매를 두었는데, 장남 알베르토 아넬리, 둘째는 안드레아 아넬리입니다.
- 4대 알베르토 아넬리(Giovanni Alberto Agnelli, 1964-1997)는 움베르토 아넬리의 장남으로, 사실상 후계구도에서 밀려났던 사촌형 에도아르도와는 달리, 베스파로 유명한 오토바이 회사인 피아트 산하 피아지오의 CEO을 역임하는 등 아넬리 가문의 다음 승계자로 점찍혔지만 돌연 1997년 희귀암으로 33세의 젊은나이에 세상을 떠나고 맙니다. 이때 피아트와 엑소르의 회장이던 큰아버지 잔니 아넬리는 크게 상심하고 자신의 딸인 마르게리타의 큰아들 21세의 존 엘칸을 후계자로 지명합니다.
- 4대 안드레아 아넬리(Andrea Agnelli, 1975- )는 움베르토 아넬리의 늦둥이(?)둘째 아들로, 이탈리아의 명문 보코니 경영대학을 졸업하고 엑소르 산하의 이베코, 페라리 등에서 경력을 쌓고 현재 유벤투스의 회장이자 엑소르와 피아트-크라이슬러 그룹의 이사로 활동하고있습니다. 2014년 기준 보유재산은 135억 달러로 알려져있고, 슬하에 2011년생 아들 지아코모 아넬리(Giacomo Dai Agnelli)와 맏딸 바야 아넬리를 두고있습니다. 여담으로 지아코모가 태어났을때 아넬리 가문의 이름을 이을 적자가 태어났다고 엘칸의 아들들과 후계구도를 예상하는 등 언론에서 난리가 났었습니다ㅋㅋ
5대 존 엘칸(John Philip Jacob Elkann, 1976- )은 잔니 아넬리의 딸 마르게리타의 장남으로 21세에 후계자로 지명받아 엑소르와 피아트에 입사했으며, 토리노공대에서 학업을 마친 뒤 경력을 쌓고 2004년 움베르토 아넬리가 사망하자 28세의 젊은나이로 회장에 취임했습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파산한 미국의 크라이슬러를 인수, 합병해서 피아트-크라이슬러(FCA)그룹을 세웠으며 2018년 기준 글로벌 판매량 8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페라리의 회장도 겸하는데 유벤투스처럼 준우승으로 고통받는 중인 F1팀 스쿠데리아 페라리에 아낌없는 지원을 해주고 있습니다. 경영능력은 인정받고 있지만 아넬리 가문임에도 아넬리라는 이름을 가지지 않은것, 법인세율이나 경영권 방어에 유리하다는 이유로 2017년 엑소르와 피아트 등의 본사를 네덜란드로 이전한 것 등 때문에 이탈리아 언론에서는 안드레아 아넬리가 유벤투스에서의 성과를 바탕으로 부상하여 엑소르 및 아넬리 가문의 수장 탈환을 은근 부추기기도 합니다. 승격 후 77찍고 힘든시절에 마이너스 통장을 주며 지원해준 이후 2018년 여름 간만에 호날두 영입관련 힘을 써주시며 다시 한번 존재감을 드러냈습니다.
5대 라포 엘칸(Lapo Elkann, 1977- )은 존 엘칸의 남동생으로, 자유로운 영혼과 남다른 패션감각으로 유명한데 코카인과 동성애 추문이 나오는등 사생활 문제가 많습니다.
5대 지아코모 아넬리(Giacomo Dai Agnelli, 2011- )는 안드레아 아넬리의 아들로 사실상 엑소르와 유벤투스의 미래 회장님..입니다.
출처 : 유베당사 황투갓로님
https://www.juventus.kr/football/5491631
특징: 2018년 6월, 2021년까지 유럽 시장에서 판매되는 모든 차종에서 디젤 라인업을 제외한다고 발표했다. 대신 하이브리드와 전기자동차에 집중할 것이라고 한다.
인지도: 세계 8위 자동차 기업과 9위 자동차 기업이 합치는 만큼 상당한 시너지 효과가 예상되며, 이들의 작년 판매량은 총 870만대로 세계 4위 수준이다(심지어 제너럴 모터스보다 높다!).
계열사 및 산하브랜드:
FCA Italy
-피아트 계열:
2018년 3월 7일에는 세르지오 마르치오네 회장을 통해 피아트 브랜드의 방향이 언급되었다. 500 시리즈와 판다
관련 기사:
“테슬라 최대 단골 피아트 크라이슬러 잃을 것”…탄소배출권 판매 수익 직격탄(2021-05-06)
최근 PSA(프랑스 회사, 우리나라에서는 푸조라고 부른다)그룹과 피아트 크라이슬러(FCA)는 합병을 통해 스텔란티스가 설립됐다.
스텔란티스 측은 “양사 합병을 통해서 탄소 배출 규정을 준수할 수 있게 되면서 더 이상 테슬라의 탄소배출권을 구매할 필요가 없어졌다”고 밝혔다.
*탄소배출권: 지구온난화 유발 및 이를 가중시키는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권리. 남거나 부족한 배출권은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다. 교토의정서 가입국들은 2012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1990년 대비 평균 5% 정도 감축하기로 했으며, 이를 이행하지 못하는 국가나 기업은 탄소배출권을 외부에서 구입하도록 했다.
2012년 이후 테슬라는 수십억 달러의 탄소배출권을 판매해 왔으며, 피아트 크라이슬러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피아트 크라이슬러는 테슬라로부터 유럽과 미국의 탄소배출권을 약 24억 달러 매입한 바 있으며, 테슬라는 2021년 1분기 만에 5억 달러를 판매했다.
Q. 자, 그렇다면 테슬라의 탄소배출권의 큰 손이 사라졌는데, 테슬라 주가는 어떻게 됬을까? 스텔란티스는 어떨까?
주가가 다들 불안정하구만..... 하지만 테슬라는 2021년에 갑자기 급등했으니 100년 기업이랑 비교할 게 못되는 구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