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공부

무오사화, 갑자사화 쉽게 외우는 법, 60갑자 알기!!

정알못 2021. 2. 2. 15:05

조선 공부하려다가 갑자기 멈추는 경우 많지요?

무오사화니, 병인양요니.. 도대체 무슨 말인지 참~~~

 

그럴 땐 60갑자를 공부해야합니다.

그 후엔 분명 외우기가 쉬워질 거에요. :)

 

Let’s go!

 

[목차]

1. 60갑자 개요

2. 60갑자 명칭

3. 하나를 외우면 모든 것이 통한다

4. 사화(무오사화, 갑자사화, 기묘사화, 을사사화) 순서 외우는 법 꿀팁

 

1. 60갑자 개요

-중국 은나라에서 사용한 역(달력할 때 역)이다.

-사용 시기: 한국의 경우는 호석(護石)에 십이지신상을 조각한 경주(慶州) 괘릉(掛陵)이나 김유신묘(金庾信墓)가 최초의 것으로 보인다.

이미지 출처: https://www.gyeongju.go.kr/tour/page.do?mnu_uid=2695&con_uid=296&cmd=2

이미지 출처: https://ncms.nculture.org/stonecraft/story/5041?jsi=

더 자세한 이야기를 알고 싶다면 URL:

https://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1001&docId=177837157&qb=NjDqsJHsnpAg6rOg66Ck7Iuc64yA&enc=utf8§ion=kin.ext&rank=2&search_sort=0&spq=0

이미지 출처:

http://www.10x10.co.kr/shopping/category_prd.asp?itemid=3539719&disp=115107111103&pRtr=12%EC%A7%80%EC%8B%A0&rc=rpos_1_2

 

 

2. 60갑자(60간지) 명칭

(1) 60갑자

구성은 총 2가지이다.

10, 12

-> 10간의 첫글자 ”, 12지의 첫글자 가 모여서 갑자!!

이미지 출처: https://blog.naver.com/loving2me/222172507978

 

(2) 60간지; 줄기를 가르다. -> 세월을 쪼개는 기준,

3. 하나를 외우면 모든 것이 통한다

이제 1012(60갑자)가 무엇인지 알았으니,

본격적으로 적용해 봅시다.

 

다만, 한가지는 외워야 해요.

60갑자 하나랑 실제 연도 하나를 외워야 하지요.

 

예를 들어,

신미양요 1871을 외웁시다.

 

적용

(1) 1872년은 무슨 해입니까?

-> 10

간의 에서 으로 가고, 12지간의 에서 으로 가므로 임신년입니다.

1번을 통해 알게 된 사실이 있습니다.

4

5

6

7

8

9

0

1

2

3

끝자리를 통해 60계의 첫 글자를 알 수 있습니다.

ex) ()()()8-> ()

ex) ()()()3-> ()

 

(2) 올해(2021)가 무슨 해입니까?

202“1”년이므로 신()

신미양요가 1871

-> 150년 차이가 난다. -> 60*2+30

30년은 12*2+6년이므로

()-> 신축년

(3) 무오사화는 언제입니까?

조선 건국이 1392년이고 사림이 성장할 때가 15세기 무렵이므로 14~쯤 될 것이다. 또한 첫 글자가 이므로 14()8

신미양요는 1871

14()8.

-> 1871 420(60의 배수) = 1451

1451년은 신미년

1458년은 무인년

1468년은 무자년

1478년은 무술년

1488년은 무신년

1498년은 무오년

 

결국 무오사화는 1498년이다.

 

그런데 너무 어려우면 저 표만 알면 되요.

갑오년할 때 으로 1()()4년 이겠구나~

정묘년할 때 으로 1()()7년 이겠구나~

 

이 영상을 보시면 굉장히 도움이 되실 거에요.

따로 링크 남기겠습니다.

 

[URL] https://youtube.com/watch?v=ks7Zep5NhDg&feature=share

 

4. 사화(무오사화, 갑자사화, 기묘사화, 을사사화) 순서 외우는 법 꿀팁

사화 순서 꿀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