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들어가기에 앞서 각오
특수교육을 공부했지만 공학은 더 문외한인데... 음.. 제가 9등급 학생이라고 생각해볼게요.
현재 저의 목표는 내용을 보면 적어도 “엥?”하지는 않는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적어도 엉성해도 흐름은 아는 정도로.
Ⅱ. 개요 살펴보기
1장. 특수교육 공학의 이해(물론 여기서 말하는 공학은 자연계 말하는 공학은 아님)
-공학의 개념
-공학의 유형
-공학의 장점
2장. 접근성
-정보접근성
-시설‧설비 – 접근: 건물, 시설, 지원
TMI: 접근성 어디서 많이 들었는데? 특수교육법 제2조 2호.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특수교육 관련서비스란 A의 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필요한 인적‧물적 자원을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상담지원‧가족지원‧치료지원‧보조인력지원‧보조공학기기지원‧학습보조기기지원‧통학지원 및 정보접근지원 등을 말한다.
3장. 보편적 설계(UD)와 보편적 학습 설계(UDL)
-UD
-UDL – 표상 제공 -> 교사의 자료
- 행동과 표현수단 제공
- 학습참여 -> 동기 ↑, 협동
TMI: 표상은 다른 말로 매체라고도 한다. 매체 제공을 통해 교사의 자료.. 뭔 뜻이지. 교사의 자료가 매체란 뜻인가?
4장. 컴퓨터 보조수업(CAI)
-정의
-유형, 수업상황 예시
-장‧단점
5장. 보조공학(AT)
-개요
-연속성: 무-> 첨단기기 <- 그만큼 스펙트럼이란 뜻이지~
-사정과 사정모델 –사정 원칙
-사정 모델
-컴퓨터 접근 AT – 접근성센터 – 지체, 시각
- 키가드
-기타 AT – 단어 예견 프로그램
- 환경 제어 장치
TMI: 우짜지... 여기서 어렵당께. 사정이 뭐지? 보조공학에도 사정이 있냐?
6장.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AAC)
-정의
-목적
-지도 원칙: 사용자----대화상대자
-AAC 작용 시 필요한 기초능력
-구성요소(4) -상징 –비도구
-도구 -> 도상성 – 자의성
-도구
-기법 – 직접
- 간접 -> 스캐닝(훑기)+스위치
-전략
-평가 – AAC 참여모델: 장벽 – 타인
- 학생 능력 or 기기
-AAC 기초능력 평가
-자료효과 평가
-지도 실제 단계
TMI: 아우... 5장보다 더 머리 아파. 도상성은 뭐였지. AAC 간접 기법은 또 뭘까? AAC 전략도 있구나. AAC 참여모델을 왜 평가 하는거지. AAC 기초능력 평가는 어떻게 하는 걸까. 자료효과 평가는 또 뭐고. 지도 실제 단계는 왜 중요할까?
Ⅲ. 세분화 내용
1장. 특수교육 공학의 이해
①공학의 개념-구성 개념: 공학기기. 서비스(s/w+A/S). 전략과 실제.
-특수교육법: 특수교육대상자 교육 효율적으로 실시.
-> 각급학교 장에 의해 제공되는 각종 교구, 학습보조기, AT,
정보접근 기회
②공학의 유형(6) - 교수공학: 교수‧학습 방법 설계 -> 전략
- 수업공학: 특별한 목적 위한 방법, 설계
- 보조공학: 장애인 기능↑, 개인의 요구 수용 제작
- 의료공학: 기능회복, 삶
- 생산성 도구 공학: 업무 효율↑
ex) 컴퓨터 s/w, 워드, 스캔
- 정보공학: 지식과 자료습득
ex) 초등 아이스크림(I-scream)
③장점: A B C – A: 능력치↑(신장)
B: 매체의 대체
ex) 시각->청각매체
C: 장애 보상
2장. 접근성
-정보접근성
-시설‧설비
-정보접근성 –정보격차: 정보 접근, 이용, 활용 -> 차이
-보편적 svc: 공중 전화망 구축, 전화기, 통신료 보조
-웹 접근성 지침(2.1)-구성: 원칙 4가지⊃지침 13개⊃검사항목 14개
-원칙(4)-인식의 용이성-장애 유무 관계 X
All 콘텐츠 동등한 인식
-지침 – 대체 텍스트 제공
: 의미, 용도 이해
ex) 그림
- 멀티미디어 대체 콘텐츠
:동영상->자막,대본,수어
- 명료성 – 색과 무관한 인식
- 명확한 지시사항
- 명도대비:
콘텐츠:배경
4.5:1 이상
- 자동재생 금지
- 콘텐츠간 구분
: 이웃
-운용의 용이성 – 장애유무 관계 X
모든 기능 운용
- 지침 – 입력장치 접근성:
키보드 사용보장, 초점이동, 조작기능
- 충분한 시간 제공
응답시간 조절, 정지 기능
- 광과민성 발작 예방
:깜빡임, 번쩍임 제한
초당 3~50회 이상 X
-쉬운 네비게이션
:반복 영역 건너뛰기, 제목 제공, 링크 텍스트
-이해의 용이성 – 장애 유무 관계 X 콘텐츠 이해
- 지침 – 가독성: 기본 언어 표시
- 예측가능성: 의도하지 X 기능 실행 X
ex) 새창 팝업, 기능 실행
- 콘텐츠의 논리성 – 논리력 순서
- 입력 도움 – 서식 레이블 제공
- 오류 정정
-견고성 – 기술 영향 받지 X : 개발자
- 지침: 문법 준수,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시설 및 설비 접근성
- 건물 접근: 세면장, 화장실 가까운 곳 교실
- 교재 / 교구 지원
'특알못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각장애 개요 (0) | 2021.08.30 |
---|---|
특알못의 행동지원 공부 (0) | 2021.08.29 |
특알못의 통합교육 공부 (0) | 2021.08.25 |
특알못의 청각장애 공부 (0) | 2021.08.24 |
특알못의 지체장애 공부 (0) | 2021.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