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공부 53

3‧1 운동 이후 민족계 신문 발행

(1)조선일보: 1920년 3월 5일 창간 당시의 발행 목적은 ‘신문명진보주의(新文明進步主義)의 선전’이었다. 초기 사장 조진태와 부사장 예종석은 모두 썩은 달걀이었다. 다행히 약 3개월 후 6월 12일에는 두 인간들이 물러나고 편집국장 최 강이 발행인을 겸하였다가 창간 5개월만인 8월 12일부터는 대정실업친목회와의 관계를 청산하고 주주들이 독립적으로 운영하게 되었다. 변호사 출신 유문환(劉文煥 ?~?)이 1920년 8월 15일 2대 사장으로 취임했다. 친목회와 단절하고 새로 사장을 맞이한 조선일보는 항일(抗日) 논조를 강화하며 압수와 정간을 되풀이하게 된다. 유문환은 1921년 4월 8일까지 사장으로 재직했다. 그 외에 조만식이라는 독립운동가도 사장으로 취임했는데, 방응모 사장부터 친일의 길을 본격적으..

한국사 공부 2021.03.02

왜 의병은 사라지게 되었을까?

목차 고종 시기의 군대 역사 의병 고종 시기의 군대 역사 (1) 조선군: 조선시대의 군대(5군영 조직) (2) 별기군: 1880년- 통리기무아문에 의해 개설되었다. 일본인 교관이 지휘하였다. 5군영 -----> 장어영 무위영 (별기군 소속) 1882년- 임오군란: 해고된 구식 군인들의 임금을 정부가 불량쌀으로써 지급하여 일어난 난 - 그 이후 청 군제를 모방하여 친군영 창설 이미지 출처: 좌용곡님의 친군영 그림. https://twitter.com/dndudwp99/status/1288141451289694208/photo/1 (3) 친군영: 1882년- 전영(前營), 후영(後營), 좌영(左營), 우영(右營), 별영(別營) 다섯 개의 병영 구분. 1888년- 기존 친군영의 경비가 많이 들고 편제도 중복되..

한국사 공부 2021.02.28

“나는 여성입니다.”, 일제 강점기 때의 여성 운동

이미지 출처: http://www.s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528 오늘날의 단발은 귀엽고 발랄한 무드를 연출하고자 하는 여성에게 인기 있는 머리 모양이다. 그러나 과거에는 여성에게 단발이란 사내를 흉내내는 괴상한 스타일이라 생각했다. 1922년 7월, 기생 강향란에 대해 시사평론은 그녀의 행보에 대해 비판하였다. 이미지 출처: 네이버 웹툰 ‘정년이’ 15화 중, 다음 웹툰 ‘경성야상곡’ 1화 중 출처: https://www.ynam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948 독립운동가 손병희의 셋째 아내 ‘주옥경’ 같은 경우, 8살 어린 나이에 평양 기생 학교에 다니고 일패 기생이 되었다. 22살 때 가야금, 그림 ..

한국사 공부 2021.02.28

북간도 지역의 무장 독립 전쟁 준비

배경: 일찍부터 항저우 용정촌, 명동촌이 있었다. 이미지 출처: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342064.html ①간민회 1913년 만주에서 조직되었던 독립운동단체. 교민에 관한 모든 사항들을 자치적으로 해결하여 중국 관헌도 한인문제는 간민회와 협의하였다. 또한, 교민에게 애국심을 고취하여 독립운동의 기반조성에 크게 기여함으로써, 북간도지방은 후일 항일무장독립운동의 중심지가 되었다.1919년 3·1운동 때에는 북간도지방의 만세운동을 주도하였고, 그 이후에는 간도대한국민회로 개편되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간민회(墾民會))] ②서전서숙 1906년 만주 용정에 설립되었던 민족교육기관.이상설(李相卨)을 중심으로 여준(呂準)·정순만(鄭淳..

한국사 공부 2021.02.26

국내 항일 비밀 결사의 활동

(1) (대한)독립의군부: 1912년 고종의 밀명을 받고 조직된 독립운동단체 -어릴 때부터 신동이었음.(머리) -30대 초반에는 구휼활동(인성) -1912년 음력 9월 28일 공주(公州) 유생 이칙(李侙)으로부터 독립의군부(獨立義軍府) 전라남북도 순무대장(全羅南北道巡撫大將)으로 임명한다는 광무황제(光武皇帝, 고종)의 밀명을 받았다. -1914년 3월 23일 이명상․이인순과 상의하여 각도 각군 대표를 선정하여 편성하였다. [독립의군부] 임병찬 외 ①민정식 1882년(고종 19)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였고 같은 해 문과에도 급제하였다. 1887년 전라도관찰사로 있을 때 포구(浦口)에 침입한 일본 어선이 섬사람을 죽인 사건을 계기로 왜구 침입에 대한 금제책(禁制策)을 강구할 것을 건의하기도 하였다.함창민란(..

한국사 공부 2021.02.26

산미증식계획, 용어‘수탈’ 말고 지주제에 분노하라!

Q. 일제 강점기 때 인구가 2배로 증가했다? 출처: http://data.si.re.kr/node/368 1945년(해방) 이후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주로 일본에 살던 한국인들이 대거 귀향하였다. 일제 강점기 때가 아니라 해방 후 2배 증가한 것이다. 이 자료의 출처는 다음과 같다. 출처: http://img.kisti.re.kr/soc_img/society/pak/GOGHBY/2009/v32n2/GOGHBY_2009_v32n2_29.pdf 논문의 저자에 따르면, 2등 시민 또는 불안한 정국에서 이중 집계 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출생률 증가보다 사망률의 감소의 영향이 더 컸다고 한다. 또한 1930년 중반부터 떨어지고 이후 정체되었다. 40년대 초반에는 수많은 남성의 일본 연행. Q. ..

한국사 공부 2021.02.26

대한제국의 멸망, 망국에서 싹튼 민족반역자와 항거인

1895년 -2월 2일: 교육입국조서 반포 -4월 17일: 청일전쟁 일본 승리 -10월 8일: 을미사변 -10월 26일: 을미개혁-태양력 도입 -12월 30일: 을미개혁-단발령 이미지 출처: 우리역사넷 당시 백성들은 단발 자체에 반대하지는 않았다. 자발적 단발이라면 “한 줌의 짧은 머리터럭을 아끼지 않을 것”이지만 무력을 동원한 강제 단발은 안 된다고 말하고 있다. 출처: https://news.joins.com/article/21921473 그러네! 단발하는 것, 고종이 몸소 보여주는 것은 괜찮지만 강제로 머리를 자르게 하는 것은 자유를 억압하는 것이잖아. 과연 정신적 굴복 사건임은 맞다. 1896년 -2월 11일: 고종, 아관파천 이미지 출처: http://www.sisaweek.com/news/ar..

한국사 공부 2021.02.25

독립 협회

4) 독립 협회와 만민 공동회 -독립신문이 발간되고 독립 협회가 창립되다 배경: 아관 파천 이후 러시아의 영향력이 커졌고 일본군, 서양의 침탈이 가속화됨 사건: 서재필, 독립 신문 발간(1896.4.) 및 독립 협회 창립 영향: 초기는 관료와 지식인 중심이었으나 진입 장벽이 낮아 전국민적 단체로 성장. 이미지 출처: ::: 독립유공자유족회 ::: (815family.or.kr) -토론회를 열어 국민 계몽에 앞장서다 사건: 기관지인 ‘대조선 독립 협회 회보’를 간행하고 토론회를 열었다. 영향: 토론회는 커다란 호응을 얻어 민중을 계몽하고 정치 의식을 높임. -만민 공동회를 열어 자주 국권 운동을 전개하다 배경: 고종- 환궁 후 대한 제국의 수립을 선포했으나 러시아의 요구 강화 사건: 독립 협회는 본격적 정..

한국사 공부 2021.02.24

오리도 날 수 있다, 동학 농민 운동

여러분은 방곡령을 어떻게 생각하나요? 보통 교과서를 통해 공부한 사람들은 이렇게 말할 것입니다. "방곡령은 나쁜 일본인들이 싸게 곡물을 사려고 불쌍한 조선 백성들을 배 굶게 하는 사건에서 벗어나게 해준 착한 법이다. " 그런데 이 자랑스러운 평안도 관리께서 방곡령을 통해 재태크를 하셨다는 것, 혹시 아시나요? 그 이후에 많은 탐관오리들이 방곡령을 실시하셨지요... ^^... 더 자세한 방곡령의 실체가 궁금하시다면 잘 설명해주시는 어떤 분의 유튜브 영상 URL을 통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URL: youtu.be/eWyu0g3Jn7U -곡물의 유출을 막기 위한 방곡령 배경: 개항 직후부터 일본 상인이 곡물을 사들여 일본으로 가져가면서 값이 폭등 사건: 방곡령(1889) 결과: 일본은 방곡령 철회 -> 다음 ..

한국사 공부 2021.02.24

1880~1885년, 뒤늦은 개항과 영향

1880년 3월: 김홍집 수신사 임명 7월 6일~8월 28일: 2차 수신사의 도쿄 방문 및 귀국 -> 이 때 조선책략을 가져온다. (3개월후)10월 1일: 병조정랑 유원식, 상소 올리다가 평안도 철산부로 유배되다. (음력)12월 21일: 통리기무아문 설치 1881년 1월 11일: 조사시찰단 파견(조병호 등) why? 강화도 조약의 무관세 문제 때문에 2월 26일: 이만손 등 영남만인소 5월: 별기군 창설 9월 26일: 영선사 파견(청나라에 파견함) *개인적인 의문점: 아니, 개항하는 것 까지는 좋은데 도대체 왜 기존의 군인들의 월급을 삭감하면서까지 일을 진행했을까? 이미지 출처: m.yesm.kr/news/articleView.html?idxno=44482 다른 주변나라보다 훨씬 늦게 개항을 하는 바람에..

한국사 공부 2021.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