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간 장려 정책은 누가 만들었을까? (누구 때 만들어 졌을까) 옛날부터 있었음.
http://contents.history.go.kr/front/hm/view.do?treeId=010402&tabId=01&levelId=hm_056_0010
2. 고려의 저수지는 어떻게 생겼을까
고려시대에 들어와 현종대(1010∼1031)에 벽골제를 보수한 사례와 문종대(1046∼1083)에 남대지(南大池)를 보수한 사례를 살펴볼 수 있다.
-> 통일 신라 때 벽골제 등...을 보수한 것임
http://contents.history.go.kr/front/km/print.do?levelId=km_026_0040_0020_0050&whereStr=
3. 깊이 갈기 이전에는 뭐가 있었고, 깊이 갈기가 뭘까
경작지를 20cm 이상의 깊이로 가는 일. 사실 신라 때 있었다고 한다.
4. 시비법이 어떻게 발달이 되었을까
농사를 지으면서 토양에 비료를 주는 시비는 옛날부터 시행되어 오던 농법이었다. 그러나 고려시대에 들어와 시비의 방법이 더욱 발전되면서 농업기술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두엄 외의 전통적인 거름의 종류로는 생초분(生草糞)·구비분(廐肥糞)·잠사분(蠶沙糞)·인분 등이 있다.
시비법에는 기비법(基肥法)과 추비법(追肥法)이 있고, 추비법에는 다시 경비(莖肥)·수비(穗肥)·지비(止肥)가 있다. 밑거름이라고도 하는 기비법은 파종 전후 시기에 비료를 주는 것이고, 웃거름(중거름)이라고도 하는 추비법은 파종 후 작물이 자라는 동안에 비료를 주는 방법이다.
경비는 화곡류의 줄기 성장을 위해서 주는 비료이고, 이삭거름이라고도 하는 수비는 이삭의 충실한 결실을 위해 주는 비료이며, 지비는 추수를 하기 전 마지막으로 주는 비료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시비법 [施肥法] (두산백과)
5. 삼한통보, 해동통보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해동통보는 숙종 7년(1102) 주조 되었는데 이 시기는 화폐 유통에 대한 적극적인 경제정책이 추진되었던 시기이다.삼한통보(三韓通寶)외에 해동통보(海東通寶)?동국통보(東國通寶) ?해동중보(海東重寶) 등의 동전도 함께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이 시기에 해동통보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동전들도 만들어진 것이다.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51293&docId=2262508&categoryId=51293
6. 소 수공업이 뭐지
고려 시대에, 특수 행정 구역인 소(所)에서 공역(貢役)의 형태로 이루어지던 수공업.
7. 흑창
고려 초에 설치되었던 진휼기관. 고려 시대 태조가 설치한 빈민 구제 기관. 성종 5년(986) 의창(義倉)으로 개창됨.
8. 이앙법
모종(앙)을 옮기는 방법. 벼농사에서, 못자리에서 모를 어느 정도 키운 다음에 그 모를 본논으로 옮겨 심는 재배방법을 말한다
9. 농상집요
고려 때 이암(1297~1364)이 원(元)나라로부터 수입한 농서(農書).
내용은 경간(耕墾) ·파종(播種) ·재상(栽桑) ·과실 ·약초 등 10문(門)으로 되어 있으며, 《제민요술(齊民要術)》을 비롯한 각종의 문헌을 조리있게 인용하고 있다. 특히 당시의 새로운 유용작물(有用作物)인 목화의 재배를 장려한 기사가 주목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농상집요 [農桑輯要] (두산백과)
10. 윤작법
땅갈이를 짓는 방법. 고려 시대의 농업 방법. 전체 토지를 3등분으로 나누어 1/3은 휴경지로 하고, 2/3는 농사를 짓는다. 다음해에는 작년에 농사를 짓던 부분인 2/3 중 1/3을 휴경지로 하고 나머지 1/3과 작년의 휴경지는 농사를 짓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윤작법 [輪作法] (Basic 고교생을 위한 국사 용어사전, 2001. 12. 10., 황병석)
'한국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의 아름다운 문화, 요건 몰랐지? (0) | 2021.02.01 |
---|---|
고려인의 삶에서 대한민국의 삶을 보다 (0) | 2021.01.31 |
허수아비 왕 위의 실권자, 고려를 다스리다 (0) | 2021.01.29 |
발해, 통일신라, 고려 중앙 통치 기구 헷갈리는 사람을 위한 정리 (0) | 2021.01.26 |
협상과 포용에서의 균형의 중요성을 알려주는 고려 왕사 (0) | 2021.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