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경제활동의 뜻과 유형
목차
Ⅰ. 경제생활과 경제문제
1. 경제 활동과 합리적 선택
2. 경제 체제 및 시장 경제의 원리
3. 가계, 기업, 정부의 경제활동
1. 경제활동과 합리적 선택
[1] 경제 활동의 뜻과 유형
1)경제활동의 유형
생산, 분배, 소비
생산=가치(창출): 쓸모, 중요성, 진선미
이미지 출처: 송가인-홍자-정미애, 미스트롯 진선미 나란히~[포토엔HD] - 뉴스엔 (newsen.com)
이미지 출처: 사회적 문제 ‘외모차별주의’ [인문 다이제스트] < 인문·사회·과학 < 학습정보 < 기사본문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edujin.co.kr)
더이상 외모가 중요하지 않다고는 할 수 없다. 좋아하는 유튜버가 '거울 앞 인문학'을 추천했는데 구매해서 읽어본 결과 이 책의 핵심은 외모를 꾸준히 가꾸고 정신 건강도 챙겨라는 것이었다. 극단적으로는 성형 외과와 정신과를 병행해라는 말이다. 조금 씁쓸하긴 하지만, 생산적 요소에는 외모 역시 포함된 다는 것이 생각나서 잠시 끄적여봤다. 어쨌든 그래서 내일 피부샵 동생이랑 같이 갈 예정입니다. 책도 좀 읽어야 겠죠.
분배=대가: 결과, 희생, 치름
소비=만족: 흡족함, 넉넉함
생산: 재화, 서비스 창출 또는 기존 재화 서비스 가치 증대
ex) 운송, 저장, 판매
분배: 생산에 참여한 대가 받는 활동
대가= 가계의 소득
[생산요소] 노동 토지 자본
[대가] 임금 지대 이자
이미지 출처: 부동산정책 (부동산), 중개인 (판매업), 거래, 조언 (컨셉), 신혼부부 (부부), 절망 (슬픔) (jv11988084) - 게티이미지뱅크 (gettyimagesbank.com)
이미지 출처: "고객 신뢰 되찾아라" 머리 싸맨 은행들 (zum.com)
소비: 만족을 얻기 위한 재화, 서비스 구매활동
ex) 주식, 저축, flex
이미지 출처: '청년저축계좌' 뭐길래? 월 10만원씩 3년 저축→1,440만원 마련 | Kizmom 뉴스 (hankyung.com)
이미지 출처: 명품도 기꺼이 구매… 새 소비트렌드 ‘플렉스’ 뜬다 < 기획/이슈 < 기사본문 - fn아이포커스 (fneyefocus.com)
2) 경제 활동의 주체
민간- 가계- 소비의 주체- 목적: 효용(만족) 극대화
기업- 생산의 주체- 목적: 이윤 극대화
공공- 정부- 재정 주체 – 목적: 후생(더 나은 생산물 창출)
- 가계, 기업의 수요자
해외- 외국- 수출입- 목적: 자국 이익 극대화
경제 순환 모형 중요!!
3) 경제 활동의 객체(대상)
생산물: 재화, 서비스
재화- 눈에 보이는 물질
서비스- 눈에 보이지 않는 활동
생산요소: 노동-육체적, 정신적 활동
토지- 자연으로부터 획득한 자원 함수 f(x)
자본- 기계 도구.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것
개인적으로 (1) 경제 순환 모형과 (2) 생산요소와 분배가 어려웠다.
특히 (1)은 대가=가계의 소득인 것을 외우기가 어려웠고 무엇보다도
생산요소시장과 기업간의 관계를 이해하기 어려웠다.
곰곰이 생각해보니 나는 '시장'이라는 것에 대해 수동적인 존재로 인식한 반면
기업은 능동적인 존재로 인식했다.
사실 시장과 기업이 수동적이나 능동적이냐는 비교는 사실상 어불상설이고 용어 자체일 뿐이다.
오히려 시장은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으로 보는게 맞다.
이미지 출처: 생활경제 풀어쓰기 / 보이지 않는 손 : 경제 : 다이내믹부산 (busan.go.kr)
그 밖에 수입, 수익이랑 용어가 헷갈렸다.
수입: 거두어들임.
수익: 들여온 이익.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계, 기업의 경제 활동 (0) | 2021.07.25 |
---|---|
경제 체제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1.07.24 |
경제적 유인과 매몰비용 (0) | 2021.07.24 |
합리적 선택 for 현재 2030세대와 미래세대의 연애, 결혼 (0) | 2021.07.23 |
시장의 뜻과 경영 환경 (0) | 2020.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