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알못 공부

안질환의 원인 및 교육적 조치 1

정알못 2021. 9. 2. 14:51

각막 질환- 각막염, 각막외상, 원추각막

-> 그 중 나는 각막외상을 경험했다. 유치원인가 초등학교 저학년 쯤에 그 당시 부메랑이 유행했다. 언니가 열심히 돌리고 나는 부메랑을 잡는 역할을 했다. 그러다가 부메랑이 내 눈에 정확하게 맞췄다. 오른쪽 눈이 정말 고통스러웠고 언니는 멀뚱멀뚱.. 있었고(물론 언니도 어렸으니까 이해되긴 하는데 지금 생각하니 화나네;;) 곧바로 안과에 갔다. 다행히 각막쪽에 손상이 있어서 빨간색 빛 열심히 보고 뭐 했던 것 같은데 지금은 괜찮다. (드림렌즈를 끼고 있고 오른쪽이 왼쪽보다 낮긴 하지만 그래도 나름 만족하며 사는 편)

부메랑

이미지 출처:

https://www.lotteon.com/m/product/LO1024954169?sitmNo=LO1024954169_1024954170&dp_infw_cd=SSTLO10004665

원추각막

원추각막

소눈깔이랑 비슷하게 보인다.

근시, 난시가 발생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대비를 높이거나 확대자료를 쓴다.

소 눈

이미지 출처: http://www.minjokcorea.co.kr/sub_read.html?uid=12422

 

중막질환- 무홍채증, 베세트병

무홍채증은 홍채가 별로 없는 것이고 베세트병은 눈 배경에 이상한게 둥둥 떠다디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수정체 질환으로는 백내장이 있다.

백내장

이미지 출처: http://www.eyelight.co.kr/page/p0201

원인: 수정체 혼탁(감도저하)

문제점: 손상부위별 중심부 손상, 주변부 손상

교육: 대비감을 높이고, 눈부심에 유의하며 안약을 사용한다. 보통 백내장은 수술을 할 수 밖에 없다.

 

방수질환으로는 선천성 녹내장이 있다.

원인으로는 방수유출장애로 인한 안압상승이다. (거대 각막, 우안)

문제점으로는 주변부에서 중심부로 점차 손상이 커지는 것이고 시신경 손상으로 인해 심한 경우 망막박리까지 갈 수 있다.

교육으로는 보행훈련, 타이포스코프, 안약투여가 있다.

의료적 처치로는 안약, 복용약, 홍채절개술이 있다.(여기서 홍채절개는 진짜 다 잘라버리는게 아니고 방수가 흐를 수 있도록 부분부분 구멍을 뚫는 것이다) 또한 안압 상승하는 운동은 금지이다. 수영이라던가 물구나무 선다던가 중량들기라던가...

 

우리 할머니는 현재 녹내장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할머니 짐 많이 들어 들여야지!

이미지 출처: https://m.yna.co.kr/view/AKR20140715054800062

 

망막질환으로는 당뇨망막병증, 미숙아망막증, 망막박리, 망막 모 세포증, 망막색소변성이 있다.

 

당뇨망막병증은 혈방분해 인슐린 기능이 없어서 합병증으로 생기는 것이다.

우리 엄마도 당뇨병이 있는데 혹시나 심하면 당뇨망막병증이 생길 수 있으니 미리 조심할 수 있도록 해야지..

문제점은 신생혈관으로 인해 망막 상처를 내고 커튼 역할을 하는 맥락막을 열어서 망막박리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런 친구들은 당뇨가 있어서 촉각 둔화도 있기 때문에 점자도 활용이 어렵다. 따라서 청독 교재를 활용하는 것이 최선이다. (사실상 맹이 될 확률이 가장 큼)

 

미숙아망막증은 주변부->중심부로 망막박리 예후고 좋지 못하다. 망막박리는 머리충격을 조심해아 한다.

 

그 밖에 망막박리, 망막 모 세포증이 있다.

망막색소 변상은 우전성, 진행성 질환으로서 초기에는 간체가 손생이 되나 후기로 살수록 실명의 위험이 있다.

주사 추시

초기에는 저시력 기구, 타이포스코프, 주사(가만히 있는 것 살펴보기), 추시(움직이는거 살펴보기)기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후기에는 보행훈련, 점자훈련(맹 학생을 위함)을 한다.

 

황반변성의 원인은 유전, 황반으로 암점이 생기는 것이다.

문제점은 중심부 암점은 추체를 활용하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교육적 조치로 중심외보기, 대비 높임이 있다.

 

'특알못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의 구조와 시각 관련 용어  (0) 2021.09.01
시각장애 개요  (0) 2021.08.30
특알못의 행동지원 공부  (0) 2021.08.29
특알못의 특수교육 공학 공부  (0) 2021.08.28
특알못의 통합교육 공부  (0) 2021.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