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공부

백제

정알못 2020. 10. 16. 16:30

제목: 백제

 

목차

1. 백제 왕

2. 백제의 이모저모

 

 

백제 왕

1대 온조왕 어머니가 무려 고주몽(=동명성왕)2번째 부인이셨음

- 부여를 떠나 십제 건국

2대 다루왕 민생안정

3대 기루왕 천재지변

4대 개루왕 북한산성 축조(개로왕 아님)

5대 초고왕 자연재해(근초고왕 아님)

6대 구수왕 키가 2m였다

7대 사반왕 즉위 직후 폐위

8대 고이왕 율령 반포, 관등 16품계, 군악대(피리같은거 불었다고 함) 시초

9대 책계왕 미천왕이 낙랑군 꺼져!하고 백제랑 국경 맞댐 -> 사이 나빠짐

10대 분서왕 낙랑군 서쪽 현 공격

11대 비류왕 6대 구수왕(그 키가 컸다고 한 왕)의 후손

12대 계왕 내용없음

13대 근초고왕 비류왕의 둘째 아들

- 재위 후반기에 이르러서 영토 확장(마한 흡수, 탁순국, 가야 소국 흡수)

- 진씨 가족과 혼인

작년에 썼는데 이게 카르마로 다시 쓰게되는 날이 올 줄이야

 

별로 적은 것도 없어서 다시 찾아봐야 하넴.. ㅠㅠ!

 

[일본서기]에는 366년 백제가 소백산맥을 넘어 가야, 탁순국, 안라 등 가야연맹의 7개 소국을 정벌하고, 남쪽으로 침미다례를 무찌르고, 비리 등 4읍의 항복을 받았다고 했다. 이때 백제는 마한을 실질적으로 멸망시키고, 전남 해안까지 그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또한 가야연맹에 대한 영향력도 크게 행사하게 되었다.

칠지도를 왜에 하사하기도 했는데 그 칼에 새겨진 명문은 상위자가 하위자에게 내리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백제가 왜왕에게 하사하는 내용을 담은 것으로 한국학계는 보고 있다. 당시 왜국은 백제의 앞선 문물을 얻기 위해 백제에 용병을 제공해주는 나라였다. 백제는 왜왕에게 뛰어난 검을 줌으로써, 왜국의 협력을 구한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근초고왕 [近肖古王] - 백제사에 큰 길을 열어준 백제의 13대 왕 (인물한국사, 김용만, 장선환)

 

14대 근구수왕 진씨 가문과 결혼 계승(->진씨 가문이 강력함을 알 수 있음)

- 중국 동진에 사신 보냄

- 일본과 국교 맺기

(왕인을 보내 논어, 천자문 익히게 함)

- 고구려의 소수림왕과 마찬가지로 동년 11월에 승하함

15대 침류왕 - (고구려는 소수림왕 때 불교 수용했는뎀...) 중국 동진을 거쳐 불교 공인

16대 진사왕 왕권강화에 힘쓰고 있었으나 고구려에 광개토대왕이 즉위하자마자 망함

17대 아신왕 침류왕의 장남

- 고구려와 싸울 때마다 실패했다

- 왜에 군사적 지원 요청(+ 왜에게 왕인 박사 보냄)<-> 이때부터 일본 잘나감

이미지 출처:

http://kids.hankooki.com/lpage/news/201904/kd20190418060029125630.htm

출처: http://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idxno=1215571

 

18대 전지왕 아신왕의 아들

-남조의 송나라와 외교관계 강화

19대 구이신왕 전지왕의 맏아들

20대 비유왕 잘생겼고 언변이 좋음

- 외교 재능이 뛰어남 ->나제동맹 성립

- 급작스럽게 사망

21대 개로왕 비유왕의 아들

- 나제동맹 성립된 것 덕분에 장수왕 공격을 막음

- 고구려를 침공할려고 북위와의 동맹 요청했으나 실패

- 장수왕이 개로왕 전사시킴

22대 문주왕 개로왕의 아들

- 웅진 천도

23대 삼근왕 천재지변

24대 동성왕 장점이자 단점: 왕권강화

- 동성왕은 4933월에 사신을 신라에 보내 혼인 동맹을 제의하기에 이른다. 신라는 동성왕 제의를 기꺼이 받아 들여 이찬비지의 딸을 백제에 보내 혼인을 맺게 하였다.

출처 : 충청투데이(http://www.cctoday.co.kr)

 

25대 무령왕 일본에서 태어남

- 왕권강화: 22담로에 왕족 파견

- 중국 양나라 사신

- 일본에 오경 박사 파견

26대 성왕 신라와 사신 교환

- 사비 천도

- 중국 남조 양나라와 교류

- 성왕 전사

27대 위덕왕 이 시기에 고구려는 백제 공격하고 신라는 가야 전 지역 먹음

28대 혜왕 위덕왕의 동생

29대 법왕 장점이자 단점: 불교를 사랑함

30대 무왕 그 시대의 가짜뉴스인 서동요 전파자

- 익산 미륵사지 석탑 건립

- 젊은 시절 척추 부상

- 신라 최다 공격

31대 의자왕 옛 가야 지역 점령

- 지나친 왕권 강화

 

 

 

2. 백제의 이모저모

학창 시절 역사수업을 들었을 때 백제는 예술이 대단했다고 들었던 것 같다.

구체적으로 왜 예술의 나라라고 불렸을까??

백제미소보살

이미지 출처:

https://www.chosun.com/politics/2020/10/11/3LEC6XQOVJBHJA5C7UDUDMLRNM/

백제사비 왕궁(으로 추정)

이미지 출처:

https://www.chosun.com/culture-life/culture_general/2020/10/13/HDX3MXKA7ZDSXE6D6JMCZGV5TY/

 

성왕 재위 시절,

고구려 안장왕(고구려 잘나가는 마지막 시기에 있었음)은 백제의 한씨와 사랑에 빠졌다.

 

출처:

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I&nNewsNumb=201808100057

 

그러고보니 백제에는 미남 미녀가 많았나 보다... 왕도 용모가 뛰어나고 보과공주도 미인으로 나오고 한씨라는 분도 예쁘다고 나오니....

 

(1)백제 사람 외형

https://news.joins.com/article/9406871

해설: 복원된 백제 사람의 얼굴을 보면 대체로 긴 얼굴형에 미간이 좁다. 또 눈썹은 굵거나 진하지 않으며 눈매는 날카롭다. 입술은 얇은 편이다.

 

출처 : 컨슈머타임스(Consumertimes)(http://www.cstimes.com)

 

 

(2)백제 옷

이 출처를 참고하세요. 자세하게 잘 나오고 잘 설명해주십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ohs6888&logNo=221078335301&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한국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연맹왕국과 군장국가의 제천행사  (0) 2020.10.27
청동과 군장국가  (0) 2020.10.26
삼한  (0) 2020.10.16
고구려에 흡수된 옥저, 동예  (0) 2020.10.12
고구려  (0) 2020.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