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공부

우리나라 연맹왕국과 군장국가의 제천행사

정알못 2020. 10. 27. 11:24

1. 부여(연맹왕국)

(1)특징

-

-그 밑에 사출도(마가/우가/저가/구가)

(2)제천행사

이름: 영고(한자: 맞을 영, 심장박동소리 고-> 하늘의 심장소리를 맞이한다->하늘에게 제사)

시기: 은력 정월(12)

영고

출처: http://www.ynamnews.co.kr/paper/news/print.php?newsno=14487

Q. 12월에 열린 이유는?

A. 선출에 의해 왕이되는 제도였다.

특히, 부여에서는 오곡이 여물지 않을 때에는 국왕이 이에 책임을 지고 물러나거나 죽음을 당해야 하는 시대였다.

고기잡이·사냥·농경 등의 중요한 생산활동을 모두 씨족원의 공동노동으로 행하였기 때문에 풍작을 기원하는 종교적 의식이면서도 씨족사회 이래의 전통을 이은 축제였다고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영고(迎鼓))]

내가 만든 부여 영고 이미지 ㅎ.ㅎ

2. 옥저(군장국가)

(1)특징

-군장 A,B,C

-고구려 공납(소금, 해산물)

-민며느리제(시집 갑니다!!)

-골장제(가족 공동 무덤)

(2)제천행사

없음(또는 알려져 있지 않음)

 

3. 고구려(연맹왕국)

(1)특징

-5부족 연맹체(제가회의)->부여와 유사함

-서옥제(장가 가요~~~)

(2)제천행사

이름: 동맹(또는 동명)(동쪽이 밝다->동쪽을 밝힌다...?-> 하늘을 위해 동쪽을 밝힘)

시기: 10

->유화부인과 주몽을 기리는 목상을 앞에 두고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이상으로써 고금을 통한 농경민족의 유구한 공동 농경의례와 풍요다산의 여신숭배 관념의 전통을 대충 짐작할 수 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동맹(東盟))]

 

4. 동예(군장국가)

(1)특징

-단궁,과하마, 반어피가 유명함

-씨족사회 전통 계승: 족외혼, 책화

(2)제천행사

이름: 무천(춤출 무, 하늘 천 -> 하늘을 위해 춤을 추다)

시기: 10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밤낮으로 술을 마시고 노래를 부른다

->범을 신으로 여겼다(너희 혹시 단군신화에 나오는 호랑이 부족이니...?)

동예 무천의 이미지

5. 삼한(군장국가)

(1)특징

-군장; 신지, 읍차+천군(제사장/소도 관할)

-벼농사, 두레, 저수지(제천 의림지, 밀양 수산제)

(2)제천행사

-수릿날: 5월 단오 계승

-계절제: 10월 추석 계승

 

 

'한국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사회복지제도의 진대법  (0) 2020.11.02
고주몽과 고구려  (0) 2020.10.28
청동과 군장국가  (0) 2020.10.26
백제  (0) 2020.10.16
삼한  (0) 2020.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