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공부

부여

정알못 2020. 10. 8. 17:19

부여

 

목차

부여의 성격 (1)부여 명칭 유래(+왕호)

(2)부여의 옷차림(흰 옷을 즐겨입는 이유)

(3)부여의 음식(3가지)

(4)부여의 문화

(5)부여의 법

 

 

 

 

부여의 성격

(1)부여 명칭 유래(+왕호)

평야를 의미하는 벌(···夫里)에서 연유했다는 설

사슴을 뜻하는 만주어의 ‘puhu’라는 말에서 비롯했다는 설

=>정확히 말하면 고조선 옆에 있는 북부여라고 할 수 있다.

-부여의 갈래

대부여: ()조선의 44대 구물 단군은 B.C 425년에 즉위하면서부터 국호를 대부여(大夫餘)로 바꾸고 삼한(三韓)을 삼조선(三朝鮮)으로 부르게 했다.

해모수가 있을 당시는 대부여 4대 단군 고열가 57년이었다.

연나라와의 80년 전쟁(BC380~BC303)으로 피폐해진 대부여는 BC296한개의 난 으로 더욱 쇠약해졌다. 한개의 내란을 평정한 상장군 고열가가 단군으로 즉위했지만, 대부여는 더 이상 나라를 지킬 힘이 없이 고갈된 상태였다.

북부여: 해모수(부루왕의 아버지)->해모수 2(유화부인의 전남편)->...->해우루 단군

천왕랑 해모수는 BC261년에 태어나 23세 되는 BC23948일에 북부여를 창건했 . 단군조선이 끝나고 해모수가 북부여를 창건한 때는 동북아시아의 격동기였다. 부여가 인질로 잡고 있던 연나라 장수 진개를 풀어주자, 진개는 연나라로 돌아가 군 대를 이끌고 북부여 서쪽 번조선의 변경을 침입해 만번한(양평)까지 차지했다.

졸본부여(卒本夫餘) : 북부여 4세 해우루 단군 때인 B.C 108년 한나라 무제가 번조선을 공격했다가 참패했으나 번조선 대신들이 우거왕을 죽이고 투항하는 사건이 발생했다.대부여의 마지막 47대 고열가 단군의 후손인 고두막이 의병을 일으켜 졸본에서 즉위하고는 스스로 국호를 동명(東明)이라고 했다.

연나부부여(椽那部夫餘) :고구리는 그를 왕(제후)으로 봉하고 연나부(椽那部)에 편입시켰다

서부여(西夫餘):여하튼 서부여는 연나부부여에서 자립해 연()나라 땅과 가까웠던 개원 서북쪽으로부터 옮겨간 그들의 후손으로 봐야 할 것이다.

동부여: 부루왕(동부여 건국) -> 금와왕(유화부인을 거두어 들임&고주몽 출산)->대소왕

고구려: 고주몽

 

아휴 뭐가 이렇게 복잡해.. 북부여 동부여 이제는 졸본부여 연나부부여??

출처 남길 테니 자세한 내용은 여기 보셔서 정독하세요.

출처: http://www.dongp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39565

출처 2: http://www.skyedaily.com/news/news_view.html?ID=58529

 

스카이데일리, 위대한 역사 고조선, 신화로 꾸민 ‘부여’의 진실

스카이데일리, 호태왕 비문 아래 영락 20년 기사는 공적비문으로는 마지막 문구로서 앞부분에 “20년 경술년, 동부여는 예전에 추모왕의 속민이었는데 중간에 배반해 조공하지 않으므로 왕께서

www.skyedaily.com

(2)부여의 옷차림

출처: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378637

 

중간 흰 옷은 남성귀족의 일상복이다.

 

(3)부여의 음식

고구려와 닮아 있다고 한다. 고구려는 다음 기회에 포스팅 하겠습니다.

 

(4)부여의 위치 및 시설

출처는 안적혀 있고 그냥 pdf 파일로만 검색이 돼서 제목을 출처로 하겠다.

제목: 부여 건국과정과 도읍지 위치에 관한 문헌연구(구글에서 검색했음)

출처: https://blog.naver.com/binnarion/220894245566

 

 

(4)부여의 문화

-수출품 3대장: , 주옥, 모피

-관리제: 사출도

-순장제도

-제천행사-영고

(5)부여의 법

삼국지(三國志)동이전(東夷傳)의 일부로,이 사료에 따르면, 부여에는 적어도 살인죄절도죄간음죄투기(妬忌)와 같은 네 가지 죄목이 존재하였다.

http://contents.history.go.kr/front/hm/view.do?treeId=010103&tabId=03&levelId=hm_006_0010

 

 

'한국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구려에 흡수된 옥저, 동예  (0) 2020.10.12
고구려  (0) 2020.10.10
진⋅한 교체기로 인한 고조선의 변화  (0) 2020.10.04
고조선(with 개천절)  (0) 2020.10.03
전국 7웅  (0) 2020.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