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공부

고구려

정알못 2020. 10. 10. 22:15

고구려

 

고구려에 관한 이미지

고구려 건국은 고주몽이면 됐고, 고구려 역대 왕 얘기나 해봐

고구려의 대표 음식

고구려의 명소

고구려의 옷

 

고구려에 관한 이미지

오늘의 순정망화 남주 고구려

 

https://twitter.com/dndudwp99/status/1263203663687770113/photo/1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716857&no=225&weekday=mon

 

우왕!!!! 그림체 넘넘 이쁘고 갑옷도 멋있당!!!!

 

2. 고구려 건국은 고주몽이면 됐고, 고구려 역대 왕 얘기나 해봐

 

1대 동명성왕- 우리가 아는 고주몽

-> 그니까, 원래 주몽이 도망치기 전에는 4부족 연맹체 였음. 그런데 주몽이 소서노 찬스(소서노는 집안 자체가 부자임) 를 쓰면서 계루부를 이끌고 오면서 5부족 연맹체가 되는거야. 계류부는 소노부를 견제하기 위해 연나부랑 짝짝꿍 맞았어. 바로 연나부를 왕비로 앉히겠다는 거임~~

 

->한편, 알고보니까 소서노는 유부녀였던 거임(비류와 온조 아들 있었음) 그래서 주몽은 두 아들을 견제하기 위해 원래 아들(유리)을 데려와서 왕위에 앉힘. 배신감을 느낀 소서노는 두 아들을 데리고 남쪽으로 내려감. 근데 두 아들끼리 한강이 좋네 미추홀(지금으로 따지면 인천)이 좋네 하며 싸운다. 첫째 아들 비류는 인천에 땅을 세웠으나 망했고 둘째 아들 온조는 한강에 땅을 세워 백제를 만듦. 

 

2대 유리명왕- 황조가(왕권 강화 실패로 인한 슬픔) -> 이 때 부여보다 약한 시기임.

그리고 선비족, 동부여의 간섭으로 고민하던 중 국내성이라는 땅을 발견하여 졸본->국내성으로 옮기게 되었다.

황조가

3대 대무신왕- 부여 공격, 개마국, 구마국 정벌

대무신왕은 어릴 때부터 똑똑하고 군사 지휘를 잘했고, 게다가 첫째 둘째 아들은 요절하거나 자살을 하여 자동적으로 왕위에 앉게 되었다. 그 때 부여는 주몽의 후손인 유리왕과 대무신왕이 맘에 들리가 없었다. 부여는 먼저 공격했으나 대무신왕은 잘 처리했다. 그래도 부여는 고구려보다 강했기 때문에 정복하지는 못하고 공격만 했다. 그래도 부여에 큰 타격을 주게 되고 몇 부여인이 고구려에 귀화하였다. 대무신왕은 그들을 연나부에 복속시켰다. 그리고 연나부랑 짝짝꿍 맞아서 왕비에 앉히게 하는 약속을 했다.

 

 + 호동왕자(대무신왕의 연나부 부인의 아들)와 낙랑 공주

낙랑공주

4대 민중왕- 대무신왕의 동생. 그당시 자연재해 심함.

5대 모본왕- 인간을 베고 자는 것을 좋아했다. 선비족과 연합하여 동북방 지역에 위협.

6대 태조대왕- 태조왕은 그저 신비로울 정도로 오래 살면서 조폭 수준의 부족국가를 왕권 중심의 고대국가로 나아가게 만든 대단한 임금 정도로만 기억해도 무방할 것이다. 부여태후(태조왕의 어머니)가 아들의 왕권 기틀을 위해 수렴청정을 하고 태조왕이 나이가 차자 그때부터 일을 시작하게 되었는데, 고대국가의 기틀을 닦았다.

출처:

https://www.su-wan.co.kr/2019/10/30/%EA%B3%A0%EA%B5%AC%EB%A0%A4-%ED%83%9C%EC%A1%B0%EB%8C%80%EC%99%95-%EC%8B%A4%EC%A7%88%EC%A0%81-%EC%8B%9C%EC%A1%B0/

 

고구려: 6대 태조대왕, 실질적 시조 - 수완뉴스

시조도 아닌 왕이 태조라는 묘호 비슷한 시호를 받았고 거기에 대왕이다.처음부터 심상치가 않은데 기록을 보면 더 어이가 없다.7세에 왕위에 올라 99세에 동생에게 선위하였고, 상왕으로 9년을

www.su-wan.co.kr

7대 차대왕- 오랫동안 폭정을 하였다

 -> 태조왕의 동생이었는데 하도 태조왕이 오래 살고 정치를 하니까 답답해서 태조왕을 끌어내리고 자기가 왕이 되었다.

     근데 정치를 디게 못했다. 백성들의 원성이 잦았다.

 

8대 신대왕- 쿠데타 및 후한 전투(+고구려 최고관직 명림답부99세의 나이에 신대왕을 앉히기 위해 쿠데타를 일으켰다)

9대 고국천왕- 신대왕의 똑똑한 둘째 아들

                 - 황건적의 난 피해 유목민 수용, 진대법(곡식 빌려주기), 5

10대 산상왕 - 고국천왕의 대가 없어서 고국천왕의 왕비가 직접 골라 왕을 앉히고 그 사람이 왕비의 남편이자 왕인

                   바로 산상왕이다. 하지만 산상왕은 왕의 대를 잇고 싶었기에 두번째 부인을 앉혔고 그 부인에게서

                   아들을 얻게 되었다.   

11대 동천왕 -  209년 ~ 248년, 재위: 227년 ~ 248년 덕망이 높아서 백성들의 지지를 받은 왕. 사마의와 싸우다 패배했다.

12대 중천왕 - 아버지의 패배를 곱씹고 위나라를 격퇴한 적이 있다. 그리고 순장 제도를 없앴다.

13대 서천왕 - 요당시에 위나라가 오나라를 흡수하면서 중국은 통일을 이루었다. (사마염이 진나라로 통일)(위진 남북조 시대)

14대 봉상왕 - 폭군

15대 미천왕- 몰락한 왕족이지만 낙랑군 본토를 이동시키게 하는 등의 왕권강화

16대 고국원왕- 자기 아버지(미천왕)가 확장한 영토를 잃어버리고 백제 근초고왕에게 전사당한다(4세기)

17대 소수림왕- 고국원왕의 첫 번째 아들. 단기간에 고구려 부흥. 소수왕 이라서 나무가 많은(?) 고구려 왕이라 생각하자. 불교의 수용 및 보급유교 교육 기관인 태학(太學)을 설립, 율령(律令) 반포, 백제 공격

18대 고국양양- 고국원왕의 두 번째 아들이자 광개토왕의 아빠. 불교 권장.

19대 광개토대왕- 최대의 영토

20대 장수왕- 한강 차지

21대 문자명왕- 나제동맹과 싸움

22대 안장왕- 고구려 전성기의 마지막 왕

25대 평원왕- 고구려 말기 중흥 군주. 평강공주의 아버지이자 온돌의 장인어른

온달과 평강공주

26대 영양왕- 수나라 선제 공격. 을지문덕과 함께 진나라 멸망직후부터 수나라 선제공격& 한강 뺏으려 노력<->신라는 수나라 도움 요청.

27대 영류왕- 천리장성도 쌓고 수나라 공격도 개시했지만 연개소문한테 죽임당함

28대보장왕- 비선실세가 연개소문

29대 마지막 왕

 

3. 고구려의 대표 음식

4. 고구려의 명소

5. 고구려의 옷

고구려 조의선인

마지막 검은 머리+빡빡이 머리를 한 분들은 조의선인입니다. 고구려 관리제를 보면 사자, 조의, 선인 이렇게 소개가 되있는데요, 조의선인은 무사 직위를 얘기한다고 합니다.

화랑도는 약간 화사~~한 느낌이고 조의선인은 시크하고 굳센 느낌이네요!

출처: www.etoday.co.kr/news/view/1086811

'한국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한  (0) 2020.10.16
고구려에 흡수된 옥저, 동예  (0) 2020.10.12
부여  (0) 2020.10.08
진⋅한 교체기로 인한 고조선의 변화  (0) 2020.10.04
고조선(with 개천절)  (0) 2020.10.03